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2015년 국가통계 기준 배출량 상위 10위 배출원 중 시멘트, 제철 등 제1차 금속산업이 연간 6만1,849톤(25.2%)으로 1위를 차지했다.
배출량 상위 10위 배출원 및 순위
| 
                배출량 상위 10위 배출원  | 
            
                순위  | 
            
                배출량(톤/년)  | 
            
                비율(%)  | 
            |
| 
                제조업 연소  | 
            
                기타  | 
            
                1  | 
            
                61,849  | 
            
                25.2  | 
            
| 
                에너지산업 연소  | 
            
                화력발전 등 발전시설  | 
            
                2  | 
            
                36,954  | 
            
                15.0  | 
            
| 
                비도로이동오염원  | 
            
                선박  | 
            
                3  | 
            
                32,300  | 
            
                13.1  | 
            
| 
                도로이동오염원  | 
            
                화물차  | 
            
                4  | 
            
                22,809  | 
            
                9.3  | 
            
| 
                생산공정  | 
            
                석유제품산업  | 
            
                5  | 
            
                21,690  | 
            
                8.8  | 
            
| 
                생산공정  | 
            
                제철제강업  | 
            
                6  | 
            
                19,881  | 
            
                8.1  | 
            
| 
                비도로이동오염원  | 
            
                건설장비  | 
            
                7  | 
            
                15,852  | 
            
                6.4  | 
            
| 
                제조업 연소  | 
            
                공정로  | 
            
                8  | 
            
                15,193  | 
            
                6.2  | 
            
| 
                비산업 연소  | 
            
                주거용시설  | 
            
                9  | 
            
                9,807  | 
            
                4.0  | 
            
| 
                생물성 연소  | 
            
                농업잔재물소각  | 
            
                10  | 
            
                9,537  | 
            
                3.9  | 
            
 
*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중분류별로 PM-2.5 1차 배출량 및 NOx, SOx, VOCs에 의한 2차생성량이 가장 많은 배출원 10개 기준으로 자료 작성
다음으로 화력발전 등 발선시설이 3만6,954톤(15%)을 배출해 2위, 선박, 건설기계 등 비도로이동오염원이 3만2,300톤(13.1%)으로 3위, 경유화물차 등 도로이동오염원이 2만2,809톤(9.3%)으로 4위, 석유제품산업 생산공정이 2만1,690톤(8.8%)을 배출해 그 뒤를 이었다.
또, 2014년 국가통계 대비 2015년 통계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배출원은 상업 및 공공기관 업무시설의 비산업 연소(냉난방 보일러 연소)로 총 2,218톤이 증가해 47.9%의 증가율을 보였다.
증가율 가장 높은 배출원 상위 10개 배출원 및 증가율 및 증가량
| 
                대분류  | 
            
                중분류  | 
            
                증가율  | 
            
                증가량  | 
            
| 
                비산업 연소  | 
            
                상업 및 공공기관시설  | 
            
                47.9%  | 
            
                2,218  | 
            
| 
                비산먼지  | 
            
                건설공사  | 
            
                38.1%  | 
            
                1,054  | 
            
| 
                기타 면오염원  | 
            
                산불 및 화재  | 
            
                16.3%  | 
            
                44  | 
            
| 
                비산먼지  | 
            
                폐기물처리  | 
            
                14.9%  | 
            
                51  | 
            
| 
                생산공정  | 
            
                제철제강업  | 
            
                14.6%  | 
            
                2,529  | 
            
| 
                폐기물처리  | 
            
                기타 폐기물 처리  | 
            
                13.1%  | 
            
                11  | 
            
| 
                제조업 연소  | 
            
                기타  | 
            
                12.7%  | 
            
                6,965  | 
            
| 
                폐기물처리  | 
            
                폐기물소각  | 
            
                9.8%  | 
            
                283  | 
            
| 
                비도로이동오염원  | 
            
                항공  | 
            
                8.9%  | 
            
                81  | 
            
| 
                생산공정  | 
            
                유기화학제품 제조업  | 
            
                8.7%  | 
            
                165  | 
            
다음으로 건설공사장의 비산먼지가 1,054톤 증가해 38.1%의 증가율로 2위, 산불 및 화재로 인한 기타 면오염원이 16.3%로 3위, 폐기물소각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가 14.9%로 4위, 제철제강업 생산공정이 14.6%로 5위를 기록했다.
가장 높은 감소율은 보인 배출원은 택시 배출 미세먼지로 2014년 대비 2015년 23%(10톤)가 감축됐는데 이는 노후차량이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 뒤를 이어 승합차 17%(276톤) 감소, 지역난방시설 12.8%(141톤) 순이었다.
![[크기변환]신창현_의원_프로필_사진_(1).jpg](http://jeongchi.com/data/editor/1904/20190425161326_329fa01901fc6f019a35b5450fa75e6f_fpgk.jpg)
[사진=신창현 의원]
신 의원은 “미세먼지가 어디서 얼마나 나오는지 정확하게 알아야 감축대책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며 "한정된 재원으로 감축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