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닷컴/휴먼리더스=이미영]
서울 용산구는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내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해 ‘맞춤형 입찰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섰다.
![[크기변환]용산구 기업인이 휴대폰으로 맞춤형 입찰정보 시스템을 살펴보고 있다.jpg](http://jeongchi.com/data/editor/2003/20200309140336_60e04cf35af2bd3d501a554ec0d480d1_mqux.jpg)
[사진=용산구청]
2018년 기준 용산구 내 기업체는 2만813곳이다. 이 중 2627개(12.6%) 업체가 전자입찰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조달청(나라장터), 국방부, 도로공사, 한국전력, 포스코, 한국통신, 아파트 단지 등 전국에 산재된 발주처 입·낙찰 정보를 하나로 묶어 지역 내 기업에게 무상·실시간 제공함으로써 사업 참여 기회를 더 확대시킨다는 취지에서다.
맞춤서비스는 업체 별 관심업종을 분류, 해당 기업에 꼭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회원가입 후 관심검색어, 맞춤메일을 설정하면 원하는 정보를 쉽게 구할 수 있다.
구는 오는 5월, 10월 지역 내 중소기업·소상공인 실무자 입찰 교육을 2회에 걸쳐 이어간다. 교육 내용은 입찰의 개요, 공고문의 이해, 예정가격 결정(투찰금액 산정) 등이며 구 입찰정보 시스템 가입도 독려할 예정이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전자입찰 참여가 확대되면 기업 매출증대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관내 모든 기업들이 시스템에 가입해서 혜택을 누리시기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