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닷컴/휴먼리더스=이서원]
양정숙 의원은 과기정통부의 바이러스기초연구소 설립 추진에 대해 그 설립방향과 역할 및 과정에 대해 지적하며 지난 메르스 대응의 반복이 되지 않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사진=양정숙 의원]
양 의원은 9월 2일 개최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2019회계연도 결산심사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설립상황에 대해 언급하며 “최근 1일 확진자 발생이 400명이 넘기도 하는 등 2차 팬데믹이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인데도 코로나 대응을 위한 통합연구소 설립은 아직도 제자리 걸음”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과기정통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는 올해초 코로나 창궐 이후 2월5일 열린 당정협의에서 바이러스 연구소의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6월 보건복지부 산하의 ‘국가감염병연구소’와 함께 설립 추진이 발표되었고, 8월에야 비로소 조직편제가 결정되어 예산 반영도 2021년 45억원이 배정된 상황이다.
양 의원은 ‘코로나 바이러스 대응을 위해 기초연구와 응용연구가 모두 필요하고, 전세계적 팬데믹 속에 연내 치료제 상용화와 조속한 백신 개발의 시급성이 제기되고 있어 추경을 통한 조기추진을 검토했어야할 상황’이라면서 ‘그러나 유사한 연구기관을 2개나 만드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심지어 부처 나눠먹기, 자기밥그릇 챙기기라는 비판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니만큼 각 부처 연구소간의 차별성 확립과 협업체제 구축을 통해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라 지적했다. 또한 유수한 연구인력 소집과, 연구현장과의 소통 및 실태조사 등 공론화 과정을 통한 의견 수렴절차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과거 메르스 사태 당시에도 정부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사업’ 등에 2015년부터 수백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서울대 의대 ‘감염병 협력센터’를 구축하는 등 감염병 관련 연구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였으나 일회성 투자에 그치거나 여러 부처간에 중복 투자된 부분이 있었고, 각 사업 연구성과가 이번 코로나 사태 방지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며 “지난 경험을 반드시 타산지석 삼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바이러스 대응은 이제 계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문제다. 코로나 사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바이러스와 백신 연구에 국가가 나서야 한다”면서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가 감염병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적 기반을 강화하는 컨트롤타워가 될 수 있도록 설립방향과 역할에 대한 분명한 정립이 이뤄져야 하고, ‘국가감염병연구소’와의 철저한 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양 의원은 “최근 과기부가 발표한 내년도 국가 R&D예산에 따르면 코로나 치료제?백신 개발 임상지원과 중장기 신?변종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 예산보다 96.4% 증액된 4,300억원이 편성되었다”면서 “막대한 예산이 효율적으로 집행되고 제대로 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감독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도 그중의 한 기능을 담당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