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닷컴=이미영]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산후우울증을 전문적으로 상담 치료하는 센터는 전국에 6개소밖에 안 되어 지역 편중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인재근 의원]
산후우울증을 앓던 산모가 자신의 아들의 머리를 베개로 눌러 숨지게 한 사건이 있었다. 또한 TV 프로그램에서 산후우울증과 관련된 내용이 전파를 타면서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2021년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의하면, 출산 후 산후우울감을 경험한 비율은 52.6%로 2018년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2.3%p 증가했다. 또한 산후우울 위험군은 42.7%로 2018년도의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8.8%p 증가했다고 한다. 산모의 절반 이상이 산후우울감을 겪고, 그중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도 꽤 높은 편이다.
현재 각 지역의 보건소에서는 산후우울증 선별검사와 간단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그중에서 고위험군으로 판정될 경우 정신건강복지센터나 의료기관에 연계하고 있다.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산후우울증으로 상담을 받은 인원은 2020년에는 11,528명, 2021년 12,838명, 2022년 6월 기준 6,888명이었다. 하지만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주요 업무는 중증정신질환자의 사례관리로 산후우울증만을 전담으로 하는 전문 상담원은 별도로 두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2018년부터 난임·우울증 상담센터를 설치하여, 난임과 산전·후 우울증을 겪는 부부의 심리·정서적 지원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상담 대상으로는 난임환자, 임신부, 산모(출산 후 12주 이내), 양육모(출산 후 3년 이내, 미혼모의 경우 7년 이내까지) 및 배우자 등이 있다.
전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에서 상담을 받은 임신부와 산모는 2018년 499명, 2019년 15,364명, 2020년 15,761명, 2021년 21,392명, 2022년 8월 기준 17,155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현재 난임·우울증 상담센터는 전국에 6개소밖에 없다. 지역 편중이 심각해 각 지역에 사는 산모들의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 게다가 각 상담센터의 인력은 국립중앙의료원 10명인 것을 제외하면 모두 5명의 인력뿐이다. 산후우울증 상담은 집단상담, 온라인상담도 병행되고 있지만 적은 인력으로 인해 상담원의 업무 부담이 매우 가중된 상황이다.
이에 산후우울증 상담에 대한 산모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선 난임·우울증 상담센터를 전국적으로 확대 지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증가하는 상담 수요에 따라 각 상담센터의 인력 확충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인 의원은 “산후우울증은 많은 산모들이 겪고 심각한 경우에는 극단적인 선택까지 할 정도로 심각한 우리 사회의 문제가 되었다.”고 강조하며 “난임·우울증상담센터를 전국적으로 확대 지정하여 지역 편중을 줄인다면 지금보다 더 많은 산모들이 산후우울증에 대한 상담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