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정치닷컴=이건주 기자]
6·10민주항쟁 31주년 6월항쟁의 정신을 기리는 기념식이 열린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주관하고 행정안전부가 주최하는 6·10민주항쟁 31주년 기념식이 10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개최된다.
‘민주에서 평화로’라는 주제로 열리는 올해 기념식은 6월항쟁의 정신을 바탕으로 한반도 평화 실현을 위한 시민참여의 장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올해 기념식의 가장 큰 특징은 사업회 이사장이 낭독하던 일종의 성명서인 ‘국민께 드리는 글’을, 시민들이 직접 무대에 서서 더 좋은 민주주의와 평화에 대한 메시지를 발표하는 ‘국민의 소리’ 순서로 바꾼 것이다. 지선 사업회 이사장과 함께 무대에 오르게 되는 8명의 시민들은 성평등의 문제를 우리 시대 민주주의의 과제로 확장시킨 서지현 검사, 기업의 민주적 문화를 위해 지금도 분투하고 있는 박창진 전 대한항공 사무장과 청소년 선거권 운동을 하고 있는 김정민 활동가 참여한다.
그리고 10년째 복직투쟁중인 남동발전 해고노동자 남성화 씨, 청년세대의 어려움을 대변하고 있는 이채은 청년유니온 활동가, 세월호 유가족 유경근 씨, 개성공단기업협회의 김서진 씨, 구 남영동 대공분실의 고문피해자 이선근 씨 등 자신과 주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동에 뛰어든 당사자들이 함께한다.
기념식은 평화의 나무 합창단의 오프닝에 이어 신예 래퍼 디아비가 6월민주항쟁을 랩으로 노래하고, 국민의례 때는 1987년 6월 당시 청년으로서 항쟁에 참여했던 시민들이 무대에 올라 애국가를 선창한다. 기념사 이후 이어지는 공연에서 여울림합창단은 ‘아리랑이음곡’을, 가수 안치환 씨는 ‘철망 앞에서’를 노래할 예정이다.
31년전 6월항쟁의 도화선이 된 박종철 열사의 형인 박종부 씨,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인 배은심 여사는 평화와 통일의 염원을 담은 문익환 목사의 시 ‘꿈을 비는 마음’을 낭송한다. 사회는 배우 권해효 씨가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