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닷컴/휴먼리더스=이영호]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은 18일 네이게이션앱들이 데이터 유료화 이후 실제로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사용되는지 측정한 “네비게이션 앱 무선데이터 소모량 측정 결과”를 입수해 최초로 공개했다.
지난 4월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네비게이션 ‘티맵’ 서비스가 유료로 전환하면서 사회적 큰 파장과 함께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결국 티맵 자체가 유료로 전환된 것이 아니라 티맵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무료 혜택’이 종료된 것으로 밝혀지긴 했으나, 일반 소비자들은 데이터 유료화로 인한 통신비 부담이 얼마인지 알 수가 없어 불안하지만 어쩔수 없이 이용해 왔었다.
측정 실험은 방송통신위원회가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를 통해 지난 4월 20일부터 6월말까지 약 2개월간 진행되었으며, 국내 대표 네비게이션인 티맵, 카카오내비, 네이버지도 등 3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이번 측정은 수도권(서울 서초대로~수원시 권선구, 약 24Km)과 지방(천안 아산역~아산시 인주면, 약 24Km) 구간으로 나뉘어, 초행길에서 3차례에 걸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다운 받는 방식’과 ‘미리 지도를 다운 받아 저장한 경우’로 측정됐다.
측정 결과를 보면, 지도를 다운 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수도권에서 운행했을 경우 평균 48.3분이 소요되었고, 이때 데이터 사용량은 네이버지도가 15.9MB 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카카오내비가 9.1MB, 티맵이 6.2MB 순으로 나타났고, 이는 동일한 조건에서 네이버지도가 티맵에 비해 데이터 소모량이 9.7MB로 약 2.5배 많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지도를 미리 다운 받은 이후 측정한 결과에서도 평균 운행시간은 43분이 소요됐으며, 사용된 무선 데이터량은 티맵이 3.7MB, 카카오내비 5.5MB에 비해 네이버지도는 15.2MB로 가장 많았다. 이 경우에도 역시 티맵에 비해 네이버지도의 데이터 사용량이 11.5MB로 4.1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에서의 데이터 사용량도 실시간과 지도를 저장한 경우의 데이터 사용 패턴이 수도권과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데이터 사용량은 지도를 다운받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를 저장하지 않고 수도권에서 실시간으로 운행할 경우, 평균 10.4MB(3사 총 31.2MB)가 소요됐지만, 지도를 저장한 후 사용할 경우에 평균 8.1MB(3사 총 24.4MB)가 소요돼 데이터 사용량이 28.4%로 절약된 것으로 나타났다.
양 의원은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국민 네비게이션들이 갑자기 유료로 전환하면서 소비자들은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 여건에서 통신 비용마저 부담이 커질까 우려가 컸다”며, “무료 서비스로 몸집 키운 뒤 일방적으로 유료로 전환하는 서비스는 국민 피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라도 정부가 강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번 조사는 방통위가 국민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꼭 필요한 사업으로 보인다”며, “국민의 알권리와 가계 통신비 절약 차원에서 국민이 많이 이용하는 다른 서비스의 무선 데이터 사용량 조사까지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