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이헌승 의원실]
[정치닷컴=이서원]
대만 여객열차 탈선사고는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우리나라 열차 역시 고장건수가 증가하고 있고, 그 주된 원인이 부품고장인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국토교통위 자유한국당 이헌승의원이 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작년까지 발생된 열차고장 건수가 99건에서 118건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부터 올 8월까지 발생한 열차 고장 원인 384건 중 부품요인으로 인한 고장이 212건으로 55.2%나 차지하였다.
이 중 KTX에서 발생한 부품원인 고장은 81건으로 전체 KTX 고장건수의 60%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품관리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코레일은 핵심부품과 고장빈발부품을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9월 현재 KTX의 핵심부품 2종, 일반열차 5종 등 총 7종의 부품이 적정재고 갯수를 채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으로 고속철도 핵심부품인 차축용 베어링은 930개를 보유해야 하나, 287개 밖에 보유하지 않아 재고율이 30.9%에 불과하고, 디젤기관차의 차량간 연결장치는 재고율이 17.6%밖에 되지 않는 상태이다.
고장빈발부품 역시 고속차량 부품 3종, 디젤기관차 7종, 전동차량 부품 2종 등 12종의 부품 재고가 적정재고보다 모자란 상황이며, 이 중 고속차량 동력전달장치의 경우 재고율이 12.5%밖에 안되고, 디젤기관차의 냉각팬도 4.3%, 전기차단장치는 1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헌승 의원은 “9월 현재 핵심부품과 고장빈발부품 등의 부품 약 1,590여개가 모자란 상황이다”고 지적하며, “열차사고는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만큼 부품 재고 확보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하였다.
<최근 3년간 원인별 열차 고장발생 현황>
구분
부품요인
인적요인
제작결함
기타요인
계
2015
61
7
24
7
99
(61.6%)
(7.1%)
(24.2%)
(7.1%)
(100%)
2016
62
6
27
11
106
(58.5%)
(5.7%)
(25.5%)
(10.4%)
(100%)
2017
59
15
35
9
118
(50.0%)
(12.7%)
(29.7%)
(7.6%)
(100%)
18. 8월
30
5
17
9
61
(49.2%)
(8.2%)
(27.9%)
(14.8%)
(100%)
합계
212
33
103
36
384
(55.2%)
(8.6%)
(26.8%)
(9.4%)
(100%)
<최근 3년간 KTX 원인별 고장발생 현황>
구분
부품요인
인적요인
제작결함
기타
총합계
2015
20
(58.8%)
2
(5.9%)
11
(32.4%)
1
(2.9%)
34
(100%)
2016
26
(72.2%)
-
(0.0%)
8
(22.2%)
2
(5.6%)
36
(100%)
2017
24
(51.1%)
4
(8.5%)
19
(40.4%)
-
(0.0%)
47
(100%)
18. 8
11
(61.1%)
-
(0.0%)
7
(38.9%)
-
(0.0%)
18
(100%)
<저작권자ⓒ정치닷컴 & jeongchi.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BEST 뉴스댓글0